본문 바로가기
SMALL

전체 글1183

선천의 명기 일지홍 일지홍(一枝紅) : 宣川妓 내(李遇駿:1801~1867)가 일찍이 성사(星使 곧, 使星: 임금의 명령을 지방에 출장가는 관원)를 따라 연경(북경)에 가게 되었다. 판서 강시영(姜時永 : 1788-?)이 상개(上价:上使)였는데, 매번 시를 지어 수창하여 매우 서로 친숙하였다. 돌아오는 길에 용만에 이르러 내가 시험 삼아 물.. 2006. 1. 25.
조선시대 명기 동정춘 동정춘(洞庭春) 옛날에 남쪽 지방의 관찰사가 명기 셋을 골랐는데, 백화와 홍련과 동정춘이었다. 순서를 돌아가며 잠자리를 모시게 하고, 외출을 금지시켰다. 하루는 백화가 관찰사를 모시는 날이라 홍련과 동정춘이 함께 곁방에서 잠을 잤다. 한편, 한 통인(通引)이 있었는데 나이는 겨우 열 대여섯이.. 2006. 1. 25.
한말의 명기 채금홍 韓末의 名妓 蔡錦紅 日帝時代 大正年間에 평양은 물론이고 경성을 비롯한 각 도시에서도 蔡錦紅이라는 기생을 모르는 이가 없었다. 그녀는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슬하에서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어려운 가정사정으로 인하여 평양 기생양성소에 입학하여 기생의 길로 들어서게 된다. 금홍은 인.. 2006. 1. 25.
평양기생 출신의 조선권번 한성기생조합이 기부(妓夫) 있는 기생을 대상으로 한 유부기(有夫妓) 조합이었다면, 이에 대항하여 기부 없는 기생을 대상으로 조직한 조합이 다동기생조합(茶洞妓生組合)이다. 이 조합의 구성원은 주로 평양 중심의 서도 출신의 기생으로 구성되었는데, 이후 1919년(대정 8년)에 대정권번(大正券番)으.. 2006. 1. 25.
기생조합의 효시 한성권번 기생조합의 효시는 한성기생조합이다. 이것은 관기제도가 폐지된 1908년 9월 이후에 소속이 없어진 유부기(有夫妓)1)들을 모아서 조직한 조합으로 추정된다. 자신들의 존재를 폐지하는 것에 불만을 품은 기부들은 스스로 예기(藝妓)를 가르치는 강습소를 설립하고 기생을 회동하여 가무와 기예를 가르.. 2006. 1. 25.
기생조합의 성립과 변화 권번은 일제시대에 기생들의 기적(妓籍)을 두었던 조합을 부르는 이름이다. 조선에는 원래 관기제도 외에는 공창제도라는 것이 없었으나, 한일합병 후 도쿠가와 시대[德川時代]의 일본식 유곽제도를 1916년 3월 데라우치[寺內] 총독이 공창제도로 공포했다. 그 이후 기생도 허가제가 되어 권번에 기적.. 2006. 1. 25.
일제시대 기생 사진 일본제국주의는 기생관광을 부추기기 위하여 조선의 기생이란 제목의 엽서와 소개 책자 등을 많이 만들어 배포했습니다. 위 사진은 일제시대 평양기생의 사진입니다. 2006. 1. 25.
言, 語, 說, 話, 談, 譚 등의 뜻에 대하여 言語는 일반적으로 말해서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면서 의사소통을 위하여 입으로 하는 말 전체를 가리킨다. 辭原에서는 言에 대해서 말하기를 소리(聲)를 내어서 뜻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면서 곧게 말하는 것(直言)을 言이라고 했다. 또한 文字에서는 一句를 가리켜서 一言이라고 한다고 했다. 또한 一字도 一言이라고 한다고 했다. 예를 들면 五言이나 七言 같은 것들이 그렇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혼자서 하는 말(自言)을 言(自言曰言)이라고 했고, 논난(論難)해서 하는 말이나 두사람이 서로 상대해서 말하는 것을 語(二人相對而談曰語, 論難曰語)라고 했다. 또한 큰말(大言)을 言이라고 하고 작은말(小言)을 語라고 했다. 크다고 하는 것은 漢字語에서는 無限하다는 의미이고 작다는 것은 有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2006. 1. 25.
聲과 音에 대하여 우리는 聲이나 音을 모두 소리를 나타내는 것이라고만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聲과 音은 어느정도 구별을 해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두 글자는 서로 의미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이다. 字典을 보면, "무릇 물체가 진동하거나 공기가 급격하게 끓을 때 나는 것이 모두 소리를 .. 2006. 1. 25.
전형이란 무엇인가? 전형이란 무엇인가? 典型이란 말은 문학 비평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용어일지도 모른다. 작품을 말할 때도 쓰이고 작품의 인물을 말할 때도 쓰이고 작품의 내용적 특성을 말할 때도 물론 쓰인다. 전형이란 말은 문학 비평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용어임이 틀림없다. 그렇다면 전형이란 말이 가지는 개념.. 2006. 1. 25.
외연과 내포에 대하여 外延과 內包는 문학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입니다. 첫째, 외연과 내포는 맞 짝 개념으로 항상 같이 사용되어야 합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하나의 사물 현상 속에는 외연과 내포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모든 사물 현상은 그것을 언어로 표시해주는 개념이 있게 마련인데, 개념 속에 외연과 내.. 2006. 1. 25.
우연과 필연에 대하여 우연과 필연은 각각인 것처럼 생각되기 쉽다. 그러나 우연과 필연은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필연은 우연을 통해 실현되고 우연은 필연을 수반한다. 일상적으로 생각하는 우연과 필연과는 차이가 있는 우연과 필연의 관련성에 대해 우리는 명확하게 이해해 둘 필요가 있다. 필연은 물질, .. 2006. 1. 25.
虛와 空에 대하여 虛와 空에 대하여 이 용어는 철학적인 의미가 담겨져 있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辭源에서는 아래와 같이 이야기 하고 있다. 虛는 본래 언덕을 의미하는 것(墟)이었다. 그러던 것이 큰 언덕(大丘)으로 되어서 한쪽이 비어 있다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허는 빈 것.. 2006. 1. 25.
일상과 비일상에 대하여 日常과 非日常 인간의 삶은 자연 속에서 이루어진다. 자연은 세계를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며 인간이 삶을 꾸려 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바탕이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자연을 떠나서는 한 순간도 살아갈 수가 없다. 따라서 인간의 삶은 자연의 영향아래 있을 구밖에 없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 2006. 1. 25.
형식이란 무엇인가? 형식의 본질적 성격 (1) 表現方式 하나의 事物現像은 일정한 모습을 가지고 있게 마련인데, 事物現像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모습을 우리는 形態라고 부른다. 따라서 形態라는 말은 事物現像이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는가를 나타내는 존재방식의 槪念이 된다. 그런데 인간은 일정한 形態로 존재하는 事.. 2006. 1. 25.
목욕하는 까마귀 처음에는 사람을 경계하는 듯 한 자세를 취하다가 물로 고개를 쳐박을 자세를 합니다. 매우 추운 겨울인데도 말입니다. 그러더니 물 속에 온 몸을 담그기 시잡합니다. 그러기를 여러번 합니다. 날깨까지 퍼덕여가면서 목욕을 여러번 합니다. 이것은 물에서 고개를 드는 장면입니다. 약 열번 정도를 목.. 2006. 1. 25.
경박한 유행어가 나도는 사회 세상사는 이야기]경박한 유행어가 나도는 사회 김열규 계명대 석좌교수·국문학 유행어가 빨리 나돌고 널리 퍼져가는 만큼 사회는 경박하다. 그만큼 사회는 철없이 촐랑대고 주변머리없이 까불대게 된다. 그것은 ‘흔들리는 사회’의 불안에 대한 증언이 되기도 한다. 심지어 질 나쁜 유행어가 사뭇 .. 2006. 1. 24.
2001년 신조어 경향 사전에 없는 말을 한자리에―"2001년 신어" 발간 국립국어연구원[원장 남기심(南基心)]은 2001년 3월에서 9월까지 주요 중앙 일간지에서 사용된 신어를 조사하여 "2010년 신어"를 발간하였다. 이 보고서에서는 총 2,884개의 신어에 대해 어원, 뜻풀이 등을 밝히고 용례 및 출전을 제시하였다. 언어는 시간의 .. 2006. 1. 24.
2002년 신조어 경향 『2002년 신어』 보고서 발간 ― 신어는 사회 현상을 그대로 보여 줘 ― ― 신어 생성에서 외래어 비중이 아주 높아 ― ― '카파라치', '가제트족' 같은 합성어, 파생어 비중이 커 ― ― 우리말 어법에 어긋난 신어도 더러 눈에 띄어 ― ― 신어 보고서는 우리말 역사의 살아 있는 기록이 돼 ― 국립국어연.. 2006. 1. 24.
2003년도 신조어 경향 "2003년 신어 보고서 발간" 국립국어연구원[원장 남기심(南基心)]은 2003년 한 해 동안 주요 중앙 일간지와 방송 뉴스에서 사용된 신어를 조사하여 2003년 신어‚ 보고서를 내놓았다. 이 보고서는 2003년에 새로이 만들어져 널리 쓰이는 신조어 656개에 대해 어원, 뜻풀이, 출전 등을 밝히고 있.. 2006. 1. 24.
2004년도 신조어 경향 “2004년 신어” 보고서 발간 ― 신조어는 사회의 거울 ― ― 사회, 운동·오락, 경제 신조어 많아 ― ― 외래어·외국어 남용 심각 ― 국립국어원[원장 남기심(南基心)]은 2004년 한 해 동안 주요 중앙 일간지와 방송 뉴스에서 사용된 신조어를 조사하여 “2004년 신어” 보고서를 내놓았다. 이 보고서는 2.. 2006. 1. 24.
2005년도 신조어 경향 “2005년 신어” 보고서 발간 ― 2005년에 가장 화제가 된 신어는 ‘스쿨 폴리스’, ‘개똥녀’ ― ― 사회, 경제, 통신 분야의 신어가 많이 만들어져 ― ― ‘물벨트’, ‘캡처꾼’처럼 기원이 다른 말들이 섞여 만들어진 말도 많아 ― ― 외래어의 경우 일본어의 유입은 줄어들고 영어가 강세 ― ― 새.. 2006. 1. 24.
추억의 유행어 '따지냐' 르 지라시] 추억의 유행어 “따지냐…” 편 기사입력 : 2004.03.02, 09:38 유행어를 읽으면 시대가 보인다. 유행어의 재조명 프로젝트 제 1장. 고 이주일 선생의 ‘…따지 냐?”를 통해 암울했던 80년대의 사회상을 엿보도록 하자. 한국 코메디의 대부격인 고 이주일 선생을 웬만하면 기억들 하실 것이라 본.. 2006. 1. 24.
욕설로 본 유행어 '유행어'로 만나는 한국 현대사 글의목록 욕은 민중언어의 詩이다. 전라도 지방에 가면 이런 말이 있었다. "순천에 가서 인물자랑하지 말고, 여수에 가서 돈자랑하지 말고, 벌교에 가서 주먹자랑하지 말고, 진도에 가서 노래 자랑하지 말고, 순창 가서 욕자랑 마라." 이 말은 후백제의 멸망 이후, 소외되.. 2006. 1. 24.
직장인 유행어 직장인들의 유행어 2005/11/11 오전 12:19 | 정치/경제/사회 | [뭉개구름] 직장인들의 유행어 어떤것들이 있나 갤러리맨[gallery man] : 일에 몰두하지 않고 주인의식도 희박한 직장 메뚜기족 : 직장이나 자리를 이리저리 쉽게 옮겨 다니는 무리 체온퇴직 : 정년 36.5세가 인간의 체온인 36.5도와 같다는 점에 빗대.. 2006. 1. 24.
시대별 유행어 한때 대유행이었고 지금도 종종 쓰이는 '찌찌뽕' 이라던지... '니 똥 칼라똥이다' '바보->바다의 보배' '천재->천하의 재수없는 놈' 같은 말들이 기억납니다. 유행어라면... 전 국민적으로, 적어도 중고등,대학생 정도의 10~20대에서 어떤 기간동안 광범위하게 인기를 끌었던 말을 지칭하는 거겠죠. 물.. 2006. 1. 24.
2003년 유행어 집합 2003 인터넷 신조어, 유행어 총집합! 1위, 얼짱 얼짱이란? : `얼굴 짱’의 줄임말, 인터넷 신조어이자 은어 얼짱이 되는 방법 : ① 휴대폰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 찍은 사진을 인터넷 사이트에 올린다. ② 이를 본 네티즌들이 ‘정말 예쁘다’고 판단하면, ③ 인터넷 사이트 여기저기에 퍼올리.. 2006. 1. 24.
1998년도 유행어 98년 유행어 총 집합 유행어는 대중들의 숨겨진 심리를 반영하는 언어의 거울. 올 한해도 연예인들의 입과 TV프로그램, CF 등을 통해 인구에 회자되는 유행어들이 쏟아져나왔다. 예쁘다를 「한 미모 한다」는 식으로 말앞에 「한」을 붙이는 말투는 FM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시작해 TV 오락프로그램에서 .. 2006. 1. 24.
2003년 방송계의 유행어 2003년 방송계의 유행어 모음 '불륜' '직설적 애정표현'… 유행어 속에 세상 담겨진 2003 영화 스캔들 2003년에도 방송 연예계에 숱한 유행어들이 나왔다. 이는 고단한 현실을 대신할 ‘판타지’를 찾는 대중의 심리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과거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퓨전 사극’이 인기몰이를 하면.. 2006. 1. 24.
취업난 유행어 낙바생… 면창족… 씁쓸한 ‘취업난 新조어’ [동아일보 2005-01-11 23:44] [동아일보] ‘낙바생’ ‘토폐인’ ‘점오배족’ ‘혼수취업’…. 심각한 실업난에 허덕였던 2004년 취업시장에 쏟아진 새로운 신조어(新造語)들이다. 취업포털 ‘스카우트’는 지난해 새로 생겨나거나 유행했던 취업 관련 표현.. 2006. 1. 24.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