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28 사육신 유성원의 시조 초당에 일이 없어 - 유성원 초당에 일이 없어 거문고를 베고 누워 태평성대를 꿈에나 보려고 했더니 문전에 수성어적이 잠든 나를 깨우도다 2006. 9. 12. 해동잡록 사육신유성원 전기 해동잡록 4 본조(本朝) 유성원(柳誠源) 본관은 문화로 자는 태초(太初)요, 고려 대승(大丞)인 유연달(柳連達)의 후손이다. 세종 때에 급제하였다. 임금께서 처음으로 집현전을 설치하고 문장과 학문이 있는 선비들을 맞아들였을 때 유성원이 참가하여, 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과 함께 당시에 이.. 2006. 9. 11. 필원잡기 사육신유성원 기록 필원잡기 제2권 ○ 세종 때에 《송사(宋史)》가 본국에 오지 않아 세종이 누차 전달하여 간청하였으나 하사를 받지 못하였다. 어느 날 집현전의 여러 선생들이 송나라 인물을 논평하는데 나 또한 그 말석에 있었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송사》를 짓는다면 왕안석(王安石)은 응당 어느 전기[傳].. 2006. 9. 11. 필원잡기 사육신 유성원기록 필원잡기 제1권 ○ 세종은 문치(文治)에 힘씀이 만고에 뛰어나서 경자년에 처음으로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하여 문사(文士) 열 사람을 뽑아서 채웠으며, 뒤에 30명으로 증원하였다가, 또 20명으로 고쳐서 열 사람은 경연(經筵)의 일을 맡고, 열 사람은 서연(書筵)을 겸직하였다. 오로지 문한(文翰)을 맡아.. 2006. 9. 11. 사육신의 문장 용재총화기록 용재총화 제2권 ○ 세종(世宗)께서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하고 문사(文士)로서 이름 있는 사람 20명을 뽑아 경연관(經筵官)을 겸하게 하고는 모든 문한(文翰)의 일을 모두 여기에다 맡겼다. 일찍 집무하여 늦게야 파하였고, 일관(日官)이 때를 알려야만 비로소 퇴근하였다. 아침저녁의 식사 때에는 내관(.. 2006. 9. 11. 사육신의 문장 용재총화기록 용재총화 제1권 ○ 우리나라 문장은 최치원(崔致遠)에서부터 처음으로 발휘되었다. 최치원이 당 나라에 들어가 급제하니 문명(文名)이 크게 떨쳐 지금은 문묘(文廟)에 배향되어 있다. 이제 그의 저서를 통하여 보면, 시구에는 능숙하나 뜻이 정밀하지 못하고, 사륙문체(四六文體)에는 재주가 있으나 말.. 2006. 9. 11. 사육신 역대요람기록 역대요람(歷代要覽) 경태(景泰) 명 대종(代宗), 세종(世宗) 32년(1450년) 원년(元年) 세종대왕 32년. 황제의 명(命)으로써 말 5천 필을 골라 10대로 나누어 경사(京師)에 보냈다. ○ 황제는 한림(翰林) 예겸(倪謙)과 급사중(給事中) 사마순(司馬恂)을 보내어 등극조서(登極詔書)를 반포(頒布)하고 채폐를 하사.. 2006. 9. 11. 사육신의 단종복위(연려실기술,이긍익) 연려실기술 제4권 단종조 고사본말(端宗朝故事本末) 육신(六臣)의 상왕 복위 모의(上王復位謀議) 3년 을해년(1455) 봄 2월에 정부ㆍ육조(六曹)ㆍ정원(政院)이 빈청(賓廳)에 모여서 화의군(和義君) 영(瓔) 세종의 아들 이 최승손(崔承孫)ㆍ김옥겸(金玉謙)과 더불어 금성대군(錦城大君) 유(瑜)의 집에서 잔치.. 2006. 9. 11. 사육신 연려실기술 기록(이긍익) 연려실기술 제4권 단종조 고사본말(端宗朝故事本末) 단종(端宗) 단종 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 대왕(端宗恭懿溫文純定安莊景順敦孝大王)은 이름은 홍위(弘暐)이니 문종의 큰아들이다. 현덕왕후가 정통(正統) 6년 신유(辛酉) 세종 23년 7월 23일 정사에 동궁의 자선당(資善堂)에서 왕을 낳았다. 무진년 .. 2006. 9. 11. 사육신 하위지 묘갈명 여헌선생문집 제12권 비명(碑銘) 묘갈(墓碣) 묘지(墓誌) 하 선생(河先生)의 묘갈명(墓碣銘) 선생은 휘가 위지(緯地)이고 자가 천장(天章)이다. 하씨는 진양(晉陽)을 관향으로 하였는데, 선대로부터 선산(善山)에 와서 거주하였다. 선고(先考)의 휘는 담(澹)인데 청송 군사(靑松郡事)이며 왕고(王考 조고를 .. 2006. 9. 11. 사육신 신증동국여지승람 노은서원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9권 충청도(忠淸道) 홍주목(洪州牧) 동쪽으로는 대흥현(大興縣) 경계까지 25리이고, 남쪽으로는 보령현(保寧縣) 경계까지 29리이고, 서쪽으로는 결성현(結城縣) 경계까지 9리이고, 북쪽으로는 덕산현(德山縣) 경계까지 16리이고, 서울과의 거리는 3백 45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고.. 2006. 9. 11. 사육신 신증동국여지승람 민절서원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제8권 경기(京畿) 과천현(果川縣) 동쪽으로 광주(廣州) 경계까지 13리이고, 남쪽으로 수원부(水原府)까지 34리이며, 서쪽으로 금천현(衿川縣) 경계까지 20리이고, 안산군(安山郡) 경계까지 28리이며, 북쪽으로 노량(露梁)까지 20리이고, 서울까지 33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고구려의 .. 2006. 9. 11. 사육신 성삼문유허비(송자대전,송시열) 송자대전(宋子大全) 제171권 비(碑) 홍주(洪州) 성 선생(成先生) 유허비(遺墟碑) 선생은 우리 세종대왕(世宗大王) 때의 명신(名臣)으로, 휘는 삼문(三問)이요 자는 근보(謹甫)이다. 세속에 전하기를, “선생이 태어날 때에 공중(空中)에서 ‘아이를 낳았느냐.’고 세 번을 물은 일이 있었기 때문에 삼문이.. 2006. 9. 11. 사육신 성삼문 송자대전기록(송시열) 송자대전(宋子大全) 제142권 기(記) 홍주(洪州) 노은동(魯恩洞)에 성 선생(成先生)의 신주(神主)를 옮겨 봉안(奉安)한 기(記) 금상(今上) 임자년(1672, 현종13) 4월 모일에 서울의 유사(儒士) 남택하(南宅夏), 장시현(張始顯), 여필관(呂必貫) 세 사람이 편지를 보내오기를, “모월 모일에 호조(戶曹) 서리(書吏.. 2006. 9. 11. 사육신 송자대전 기록(송시열) 송자대전(宋子大全) 제112권 서(書) 남택하(南宅夏), 장시현(張始顯), 여필관(呂必寛)에게 답함 - 임자년(1672, 현종 13년, 선생 66세) 4월 4일 병으로 누워 있던 중 먼 곳에서 자네들의 혜찰(惠札)을 받았으니 이미 매우 감사한데 더구나 성 선생(成先生)의 일대(一大) 기이(奇異)한 일을 알려 줌에랴. .. 2006. 9. 11. 사육신 미수기언 기록(허목) 기언(記言) 제17권 원집(原集) 중편 구묘문(丘墓文) 육신 의총비(六臣疑塚碑) 세종 명신(名臣)에, 박팽년(朴彭年)ㆍ하위지(河緯地)ㆍ성삼문(成三問)ㆍ유응부(兪應孚)ㆍ이개(李塏)ㆍ유성원(柳誠源)이 있어 육신(六臣)이라 부르는데, 그 사적은 육신본전(六臣本傳)에 실려 있다. 이른바 육신총(六臣塚)이 .. 2006. 9. 11. 사육신 하위지 동각잡기 기록 동각 잡기 상(東閣雜記上) 본조선원보록(本朝璿源寶錄) 사공(司空)은 휘(諱)가 한(翰)인데 신라에 벼슬하여 태종왕(太宗王) 10세 손자 군윤(軍尹) 김은의(金殷義)의 딸에게 장가들어 시중(侍中) 자연(自延)을 낳았고, 시중이 복야(僕射) 천상(天祥)을 낳았고, 복야가 아간(阿干) 광희(光禧)를 낳았고, 아간.. 2006. 9. 11. 사육신 유성원 동각잡기 기록 동각 잡기 상(東閣雜記上) 본조선원보록(本朝璿源寶錄) 사공(司空)은 휘(諱)가 한(翰)인데 신라에 벼슬하여 태종왕(太宗王) 10세 손자 군윤(軍尹) 김은의(金殷義)의 딸에게 장가들어 시중(侍中) 자연(自延)을 낳았고, 시중이 복야(僕射) 천상(天祥)을 낳았고, 복야가 아간(阿干) 광희(光禧)를 낳았고, 아간.. 2006. 9. 11. 사육신 유성원 동문선 기록 동문선 제24권 교서(敎書) 수양대군 공신 교서(首陽大君功臣敎書) 유성원(柳誠源) 왕은 이르노라. 하늘이 사직을 위하여 어진 이를 내니 대개 기수(氣數)에 관계가 있고, 임금이 벼슬과 땅을 주어 명을 내리니 진실로 훈공(勳功)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에 일정한 법규에 의하여 뚜렷이 상전(賞典)을 보인.. 2006. 9. 11. 사육신 국조보감철종26년기록 국조보감 제88권 철종조 26년(을묘, 1855) ○ 1월. 전 첨지 권재대(權載大)를 공조 참판에 특별히 제수하였다. 하교하기를, "듣자하니, 권재대가 처음 벼슬에 특별히 제수된 것이 지난 을묘년이라고 하는데, 이 사람을 올해 을묘년에 다시 보게 되니 어찌 희귀한 일이 아니겠는가. 당시 정조 임금의 마음을 .. 2006. 9. 11. 사육신 승정원일기고종38년 기록 고종 38년 신축(1901, 광무 5) 4월 2일(정유, 양력 5월 19일) 맑음 좌목 고 우찬성 하령군 이양에게 시호를 하사하고 부조의 은전을 시행할 것을 청하는 궁내부 특진관 이중하의 상소 ○ 궁내부 특진관 이중하(李重夏)가 상소(上疏)하기를, “삼가 아룁니다. 신이 송구스럽게도 종실(宗室)의 후예로서 외람되.. 2006. 9. 11. 사육신 승정원일기고종 28년 기록 고종 28년 신묘(1891, 광서 17) 6월 4일(병신) 맑음 좌목 생육신 가운데 조려 등을 영월 차얼사에 추가하여 배향할 것을 청하는 경상도 유생인 진사 유응목 등의 상소 ○ 경상도 유생인 진사 유응목(柳膺睦) 등이 상소하기를, “삼가 아룁니다. 신하가 절개를 바치는 것이 죽고 사는 것은 비록 다르지만 그 .. 2006. 9. 11. 사육신 승정원일기고종13년 기록 고종 13년 병자(1876, 광서 2) 7월 13일(신미) 맑음 좌목 강녕전에서 시원임 대신 등을 인견할 때 우부승지 박용대 등이 입시하여 북관 육진의 백성들의 국경을 넘어가는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미시(未時). 상이 강녕전(康寧殿)에 나아갔다. 시원임 대신, 정부 당상의 인견에 입시할 때, 우부승지 박.. 2006. 9. 11. 사육신 승정원일기고종10년 기록 고종 10년 계유(1873, 동치 12) 2월 8일(정사) 맑음 좌목 자경전에서 강관 이승보 등이 입시하여 《시전》을 진강하였다 ○ 사시(巳時). 상이 자경전에 나아갔다. 진강하는 데에 입시하였다. 이때 입시한 강관 이승보, 참찬관 조병직, 시독관 박제성, 가주서 백규섭, 겸춘추 강병적, 별겸춘추 박용대가 각각 .. 2006. 9. 11. 사육신 박팽년 해동잡록 기록 海東雜錄[一]○權鼈 本朝[一] 朴彭年 平陽人。字仁叟。性沈潛寡默。文章沖澹。筆法慕鍾王。我英廟朝再登第。與成三問等。同在集賢殿。及光廟丙子。爲刑曹參判。與成三問及河緯地等。謀復魯山。與其弟大年及子憲皆死。公天性沈默。文章沖澹。不落中下人窠臼。常以小學律身。竟.. 2006. 9. 11. 사육신 유응부 청강선생후청쇄어 기록 淸江先生鯸鯖瑣語 李濟臣撰 淸江先生詩話 金悅卿落拓不遇。詩文極高。徐達城嘗一邀致。出姜太公釣魚圖請題。卽書一絶云。風雨蕭蕭拂釣磯。渭川魚鳥識忘機。如何老作鷹揚將。空使夷齊餓采薇。達城默然良久曰。子之詩。吾之罪案也。 鄭壯元麟仁母氏。能文章。雖自韜不試。發輒.. 2006. 9. 11. 사육신유응부 지봉유설 기록(이수광) 芝峯類說卷十三 文章部六 東詩 堯山堂外紀。備記乙支文德事。且載其與隋將詩曰。神策究天文。妙算窮地理。戰勝功旣高。知足願云止。其詞近古。 堯山堂外紀曰。高麗使過海有詩云。沙鳥浮還沒。山雲斷復連。時賈鳥詐爲梢人。聯下句曰。棹穿波底月。船壓水中天。麗使歎服云。所謂麗使未知何.. 2006. 9. 11. 사육신 역대요람 기록 歷代要覽 景泰 元年。 世宗大王三十二年 以帝命選馬五千匹。分爲十運。送京師。○帝遣翰林倪謙給事中司馬恂。頒登極詔。賜綵幣。○世宗昇遐。文宗大王卽位 帝又遣太監尹鳳。賜祭及謚。又許承襲。○八月。英宗自胡中還。○ 二年。 文宗恭順欽明仁肅光文聖孝大王元年 謝恩使皇甫仁齎誥命來.. 2006. 9. 11. 사육신 지봉유설 기록(이수광) 芝峯類說卷十九 宮室部 陵墓 任昉述異記曰。今南海有盤古氏墓三百餘里。俗云後人追葬盤古之魂也。桂林又有盤古氏之廟。又南海中有盤古氏。國人皆以盤古爲姓云。此言似誕。 古不墓祭。其說尚矣。而孔子葬泗上。子貢廬於冢六年。顔淵謂子路曰。去國則哭於墓而行。反其國。奠墓.. 2006. 9. 11. 사육신 국조보감 내용 국조보감 제10권 세조조 1(世祖朝一) 1년(병자, 1456) ○ 6월. 집현전 학사 성삼문(成三問), 박팽년(朴彭年), 하위지(河緯地), 이개(李塏), 유성원(柳誠源), 전 절제사 유응부(兪應孚) 등이 상왕(上王)을 복위시키려고 모의하다가 일이 발각되었으므로 논죄하여 사형에 처하였다. 어떤 사람이 이르기를, "양성.. 2006. 9. 11.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