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MALL

전체 글1183

왕조실록 금성대군 기록(금성대군에 대한 예우) 세조 2년 병자(1456, 경태 7) 6월 27일(을축) 의금부에 금성 대군 등의 예우에 대해 명하다 의금부(義禁府)에 전지하기를, “이유(李瑜)·이영(李瓔)·이어(李)·이전(李瑔)·정종(鄭悰)의 처첩(妻妾)과 자녀(子女)들은 자원에 따라 모여 살게 하고, 부리는 여종[婢子]은 이유(李瑜)는 4명으로, 그 나머.. 2006. 9. 13.
왕조실록 금성대군 기록(순흥에 안치) 세조 2년 병자(1456, 경태 7) 6월 27일(을축) 의금부에서 금성 대군 등을 분산 안치하고 지키게 할 것을 청하니 따르다 의금부(義禁府)에서 아뢰기를, “지금 전지(傳旨)를 반들어 이유(李瑜)를 경상도 순흥(順興)에, 이어(李)를 함양(咸陽)에, 이영(李瓔)을 전라도 금산(錦山)에, 이전(李瑔)을 임실(任.. 2006. 9. 13.
왕조실록 금성대군 기록4(고신을 거둔 것에 대한 항의) 단종 3년 을해(1455, 경태 6) 3월 1일(병오) 장령 이승소가 환관 엄자치 등의 고신을 거둔 것과 금성 대군 이유의 죄명을 밝힐 것을 아뢰다 장령(掌令) 이승소(李承召)가 본부(本府)의 의논을 가지고 아뢰기를, “환관(宦官)들이 조정(朝廷)을 경멸(輕蔑)하고 국정(國政)에 간여하였는데도 다만 본향(本鄕)에.. 2006. 9. 13.
왕조실록 금성대군 기록3(금성대군의 고신을 거둠) 단종 3년 을해(1455, 경태 6) 2월 27일(계묘) 금성 대군 이유 등의 고신을 거두고 엄자치 등 환관을 외방에 유배시키다 의금부(義禁府)에 전지(傳旨)하기를, “금성 대군(錦城大君) 이유(李瑜)·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홍약(洪約)·당성위(唐城尉) 홍해(洪海)는 고신(告身)을 거두고, 화의군(和義君) 이영(.. 2006. 9. 13.
왕조실록 금성대군 기록2(화의군의 파출) 단종 3년 을해(1455, 경태 6) 2월 27일(계묘) 화의군 이영 등을 유배하고 환관 엄자치 등을 파출시키다 처음에 영의정(領議政)과 우의정(右議政) 한확(韓確)·우찬성(右贊成) 이계린(李季疄)·좌참찬(左參贊) 강맹경(姜孟卿)·병조 판서(兵曹判書) 이계전(李季甸)·형조 판서(刑曹判書) 이변(李邊)·.. 2006. 9. 13.
왕조실록 금성대군 기록1(세조가 금성대군을 의심) 단종 2년 갑술(1454, 경태 5) 8월 28일(정미) 계양군 이증 등이 세조에게 금성 대군 등의 의심할 만한 바를 아뢰다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과 영천위(鈴川尉) 윤사로(尹師路)가 세조(世祖)에게 사뢰기를, “수춘군(壽春君)과 익현군(翼峴君)이 말하기를, ‘금성 대군(錦城大君)이 화의군(和義君)에.. 2006. 9. 13.
학봉속집 금성대군 기록(복작을 청하는 상소) 학봉속집(鶴峯續集) 제2권 소(疏) 노릉(魯陵)을 복위(復位)시키고, 사육신(死六臣)을 복작(復爵)시키며, 종친(宗親)을 서용(敍用)하기를 청한 상소(上疏) 신미년(1571, 선조 4) 예문관봉교(藝文館奉敎) 춘추관기사관(春秋館記事官) 신(臣) 김성일(金誠一)은 참으로 황공하게도 머리를 조아려서 두 번 절하고.. 2006. 9. 13.
학봉일고 금성대군 기록 학봉일고(鶴峯逸稿) 부록 제3권 학봉김문충공사료초존(鶴峯金文忠公史料鈔存) 하 《금대유고(錦帶遺稿)》 [금대 이가환(李家煥)] 학봉 김 선생이 올린 신미년(1571, 선조 4) 상소의 발문(跋文) 일에는 천만 사람이 말하려고 하는 것을 한 사람이 말하는 경우가 있으니, 이를 일러 ‘공언(公言)’이.. 2006. 9. 13.
해동잡록 금성대군기록 해동잡록 3 본조(本朝) 이보흠(李甫欽) ○ 본관은 영천(永川)으로, 자는 경부(敬夫)이고 호는 대전거사(大田居士)이다. 세종조에 등제하였다. 문장을 잘하고 사무에 능하였다. 세조조에 순흥부(順興府)의 태수가 되었다가 금성대군(錦城大君)의 위협을 받고도 미처 달려 임금에게 아뢰지 못하고 일이 발.. 2006. 9. 13.
연려실기술 금성대군기록(국조전고 연표) 연려실기술 별집 제1권 국조전고(國朝典故) 연표(年表) 태조 강헌지인계운성문신무정의광덕 대왕(太祖康獻至仁啓運聖文神武正義光德大王) 왕위에 있은 지 7년이었다. 임신년에 즉위하였다. 명(明) 나라 태조(太祖)성은 주(朱)이며 휘는 원장(元璋)이다 의 홍무(洪武) 25년 홍무 원년은 무신년에서 시작.. 2006. 9. 13.
연려실기술 금성대군기록(정난에죽은 여러 신하) 연려실기술 제4권 단종조 고사본말(端宗朝故事本末) 정난(靖難)에 죽은 여러 신하 금성대군(錦城大君) 유(瑜) 금성대군 유는 세종의 여섯째 아들인데, 을해에 삭녕(朔寧)으로 귀양갔다가 병자에 순흥(順興)에 안치되었고, 정축에 화를 입었다. 뒤에 신원하였고, 시호는 정민공(貞愍公)이다. ○ 을해년(14.. 2006. 9. 13.
연려실기술 금성대군기록(금성의옥사와단종의별세) 연려실기술 제4권 단종조 고사본말(端宗朝故事本末) 금성(金城)의 옥사와 단종의 별세 정축년(1457) 가을에 금성대군 유(瑜)가 순흥 부사(順興府使)이보흠(李甫欽)과 더불어 거사하기를 꾀하다가 얼마 안 되어 발각되었다. 종친과 재집(宰執)과 대간이 법으로 처치하기를 청하였으나, 따르지 않았다. 여.. 2006. 9. 13.
연려실기술 금성대군 기록(사육신의상왕복위) 연려실기술 제4권 단종조 고사본말(端宗朝故事本末) 육신(六臣)의 상왕 복위 모의(上王復位謀議) 3년 을해년(1455) 봄 2월에 정부ㆍ육조(六曹)ㆍ정원(政院)이 빈청(賓廳)에 모여서 화의군(和義君) 영(瓔) 세종의 아들 이 최승손(崔承孫)ㆍ김옥겸(金玉謙)과 더불어 금성대군(錦城大君) 유(瑜)의 집에서 잔치.. 2006. 9. 13.
성호사실 금성대군 기록(제6권만물문 압각) 성호사설 제6권 만물문(萬物門) 압각(鴨脚) 옛날 단종(端宗)이 손위(遜位)할 때에 안평대군 용(安平大君 瑢)은 즉시 죽음을 당했고, 금성대군 유(錦城大君 瑜)는 순흥(順興)으로 귀양 가서 격문(檄文)을 돌리고 군사를 일으키려다가, 미처 일으키기 전에 고발한 자가 있어 역시 죽음을 당하고 말았다. 이.. 2006. 9. 13.
[스크랩] 잃어버린 고구려를 찾아서... ------------------------------------------------------------------------------------------ ------------------------------------------------------------------------------------------ ------------------------------------------------------------------------------------------ ------------------------------------------------------------------------------------------ 취재/사진/글 : 문화관광.. 2006. 9. 13.
사육신 유성원의 시조 초당에 일이 없어 - 유성원 초당에 일이 없어 거문고를 베고 누워 태평성대를 꿈에나 보려고 했더니 문전에 수성어적이 잠든 나를 깨우도다 2006. 9. 12.
해동잡록 사육신유성원 전기 해동잡록 4 본조(本朝) 유성원(柳誠源) 본관은 문화로 자는 태초(太初)요, 고려 대승(大丞)인 유연달(柳連達)의 후손이다. 세종 때에 급제하였다. 임금께서 처음으로 집현전을 설치하고 문장과 학문이 있는 선비들을 맞아들였을 때 유성원이 참가하여, 박팽년(朴彭年)ㆍ성삼문(成三問)과 함께 당시에 이.. 2006. 9. 11.
필원잡기 사육신유성원 기록 필원잡기 제2권 ○ 세종 때에 《송사(宋史)》가 본국에 오지 않아 세종이 누차 전달하여 간청하였으나 하사를 받지 못하였다. 어느 날 집현전의 여러 선생들이 송나라 인물을 논평하는데 나 또한 그 말석에 있었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송사》를 짓는다면 왕안석(王安石)은 응당 어느 전기[傳].. 2006. 9. 11.
필원잡기 사육신 유성원기록 필원잡기 제1권 ○ 세종은 문치(文治)에 힘씀이 만고에 뛰어나서 경자년에 처음으로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하여 문사(文士) 열 사람을 뽑아서 채웠으며, 뒤에 30명으로 증원하였다가, 또 20명으로 고쳐서 열 사람은 경연(經筵)의 일을 맡고, 열 사람은 서연(書筵)을 겸직하였다. 오로지 문한(文翰)을 맡아.. 2006. 9. 11.
사육신의 문장 용재총화기록 용재총화 제2권 ○ 세종(世宗)께서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하고 문사(文士)로서 이름 있는 사람 20명을 뽑아 경연관(經筵官)을 겸하게 하고는 모든 문한(文翰)의 일을 모두 여기에다 맡겼다. 일찍 집무하여 늦게야 파하였고, 일관(日官)이 때를 알려야만 비로소 퇴근하였다. 아침저녁의 식사 때에는 내관(.. 2006. 9. 11.
사육신의 문장 용재총화기록 용재총화 제1권 ○ 우리나라 문장은 최치원(崔致遠)에서부터 처음으로 발휘되었다. 최치원이 당 나라에 들어가 급제하니 문명(文名)이 크게 떨쳐 지금은 문묘(文廟)에 배향되어 있다. 이제 그의 저서를 통하여 보면, 시구에는 능숙하나 뜻이 정밀하지 못하고, 사륙문체(四六文體)에는 재주가 있으나 말.. 2006. 9. 11.
사육신 역대요람기록 역대요람(歷代要覽) 경태(景泰) 명 대종(代宗), 세종(世宗) 32년(1450년) 원년(元年) 세종대왕 32년. 황제의 명(命)으로써 말 5천 필을 골라 10대로 나누어 경사(京師)에 보냈다. ○ 황제는 한림(翰林) 예겸(倪謙)과 급사중(給事中) 사마순(司馬恂)을 보내어 등극조서(登極詔書)를 반포(頒布)하고 채폐를 하사.. 2006. 9. 11.
사육신의 단종복위(연려실기술,이긍익) 연려실기술 제4권 단종조 고사본말(端宗朝故事本末) 육신(六臣)의 상왕 복위 모의(上王復位謀議) 3년 을해년(1455) 봄 2월에 정부ㆍ육조(六曹)ㆍ정원(政院)이 빈청(賓廳)에 모여서 화의군(和義君) 영(瓔) 세종의 아들 이 최승손(崔承孫)ㆍ김옥겸(金玉謙)과 더불어 금성대군(錦城大君) 유(瑜)의 집에서 잔치.. 2006. 9. 11.
사육신 연려실기술 기록(이긍익) 연려실기술 제4권 단종조 고사본말(端宗朝故事本末) 단종(端宗) 단종 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 대왕(端宗恭懿溫文純定安莊景順敦孝大王)은 이름은 홍위(弘暐)이니 문종의 큰아들이다. 현덕왕후가 정통(正統) 6년 신유(辛酉) 세종 23년 7월 23일 정사에 동궁의 자선당(資善堂)에서 왕을 낳았다. 무진년 .. 2006. 9. 11.
사육신 하위지 묘갈명 여헌선생문집 제12권 비명(碑銘) 묘갈(墓碣) 묘지(墓誌) 하 선생(河先生)의 묘갈명(墓碣銘) 선생은 휘가 위지(緯地)이고 자가 천장(天章)이다. 하씨는 진양(晉陽)을 관향으로 하였는데, 선대로부터 선산(善山)에 와서 거주하였다. 선고(先考)의 휘는 담(澹)인데 청송 군사(靑松郡事)이며 왕고(王考 조고를 .. 2006. 9. 11.
사육신 신증동국여지승람 노은서원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제19권 충청도(忠淸道) 홍주목(洪州牧) 동쪽으로는 대흥현(大興縣) 경계까지 25리이고, 남쪽으로는 보령현(保寧縣) 경계까지 29리이고, 서쪽으로는 결성현(結城縣) 경계까지 9리이고, 북쪽으로는 덕산현(德山縣) 경계까지 16리이고, 서울과의 거리는 3백 45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고.. 2006. 9. 11.
사육신 신증동국여지승람 민절서원 기록 신증동국여지승람 제8권 경기(京畿) 과천현(果川縣) 동쪽으로 광주(廣州) 경계까지 13리이고, 남쪽으로 수원부(水原府)까지 34리이며, 서쪽으로 금천현(衿川縣) 경계까지 20리이고, 안산군(安山郡) 경계까지 28리이며, 북쪽으로 노량(露梁)까지 20리이고, 서울까지 33리이다. 【건치연혁】 본래 고구려의 .. 2006. 9. 11.
사육신 성삼문유허비(송자대전,송시열) 송자대전(宋子大全) 제171권 비(碑) 홍주(洪州) 성 선생(成先生) 유허비(遺墟碑) 선생은 우리 세종대왕(世宗大王) 때의 명신(名臣)으로, 휘는 삼문(三問)이요 자는 근보(謹甫)이다. 세속에 전하기를, “선생이 태어날 때에 공중(空中)에서 ‘아이를 낳았느냐.’고 세 번을 물은 일이 있었기 때문에 삼문이.. 2006. 9. 11.
사육신 성삼문 송자대전기록(송시열) 송자대전(宋子大全) 제142권 기(記) 홍주(洪州) 노은동(魯恩洞)에 성 선생(成先生)의 신주(神主)를 옮겨 봉안(奉安)한 기(記) 금상(今上) 임자년(1672, 현종13) 4월 모일에 서울의 유사(儒士) 남택하(南宅夏), 장시현(張始顯), 여필관(呂必貫) 세 사람이 편지를 보내오기를, “모월 모일에 호조(戶曹) 서리(書吏.. 2006. 9. 11.
사육신 송자대전 기록(송시열) 송자대전(宋子大全) 제112권 서(書) 남택하(南宅夏), 장시현(張始顯), 여필관(呂必寛)에게 답함 - 임자년(1672, 현종 13년, 선생 66세) 4월 4일 병으로 누워 있던 중 먼 곳에서 자네들의 혜찰(惠札)을 받았으니 이미 매우 감사한데 더구나 성 선생(成先生)의 일대(一大) 기이(奇異)한 일을 알려 줌에랴. .. 2006. 9. 11.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