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18

수제비 어원 수제비 어원 밀가루, 메밀가루, 감자, 칡 녹말, 보리 등을 반죽하여 얇게 떼 낸 다음 끓는 장국에 넣어 익힌 음식을 수제비라고 한다. 수제비는 고려시대부터 먹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정확한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서 구체적인 시기는 알기 어렵다. 수제비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음식 중 하나이니 그 역사가 매우 오래된 데다 서민들이 즐겨 먹던 음식의 하나인 것은 확실하다. 일부에서는 조선 시대까지도 밀가루가 흔하지 않았으므로 양반들의 접대 음식일 것이라고 하지만, 수제비는 콩가루를 제외하고는 가루를 낼 수 있는 곡물이면 무엇으로나 만들 수 있었기 때문에 반드시 그렇게 볼 수는 없다는 점도 분명하다. 이처럼 수제비는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서민 음식의 하나이지만 지금까지는 그 말의 어원을 정확하게.. 2025. 3. 29.
春雪 春雪 어느덧 봄이 오시어 파릇파릇 새잎 돋아나더니 오늘은 검은 하늘에 하얀 눈 느닷없이 내리네 春雪이 유난스럽게 어지럽고 紛紛하게 내림은떠나간 임의 마음과 발길이 그래서일 것이리라  내린 눈은 비록 눈 깜짝할 사이 녹아버리지만 그대 향한 기다림 천년을 가도 변하지 않으리 하늘이 허락하여 여름에 다시 눈이 내린다면품속으로 보듬어 영원히 녹지 않도록 하리라 2025. 3. 29.
반가운 매화(梅花) 요즘 며칠 동안 날씨가 따뜻해지더니 오늘은 매화(梅花)가 핀 것을 볼 수 있었다.지나간 겨울은 유난히 춥더니 수줍은 모습으로 그야말로 갑자기 눈앞에 나타났다.그래서 그런지 참으로 반가웠다.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백설이 잦아진 곳에 구름이 험하구나, 반가운 매화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석양에 홀로 서 있어 갈 곳 몰라 하노라”라고 노래했던 이색(李穡)의 시조가 생각나기도 한다.나라가 망해가는 고려 말기의 어지러운 상황을 노래한 작품인데, 오늘은 날씨도 이상한 데다가 바람까지 강하게 불어 그때의 어지러움이 재현되는 것은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 앞서기 때문이다.수줍으면서도 아름다운 매화처럼 우리들의 마음도 그랬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2025. 3. 25.
들통나다 어원 들통나다 어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고 듣는 표현 중에 ‘들통-나다’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의 뜻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비밀이나 잘못된 일 따위가 드러나다, 혹은 숨기거나 감추었던 일이 밝혀져 밖으로 알려지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이 표현은 들통+난다의 구조로 되어 있는데, 들통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어서 어떤 어원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정확하게 알기 어려운 점이 있다. ‘들통’과 ‘나다’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만 있다면 이 표현이 어떤 유래를 가진 말인지를 제대로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먼저 ‘나다’를 보자. 동사이면서 ‘나다’를 기본형으로 하는 이 말은 매우 다양한 뜻으로 쓰이는데, ‘들통-나다’에서는 ‘앞말이 뜻하는 행위를 끝내어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보조동사’로 쓰인 것으로 생각.. 2025. 3. 24.
뒤로 호박씨 깐다 유래, 어원 뒤로 호박씨 까다 어원, 유래 아메리카 대륙이 원산지인 호박은 우리가 매우 사랑하는 채소 중 하나지만 한반도에 들어온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1760년 무렵에 이익(李瀷)이 지은 성호사설(星湖僿說)에 의하면 그때로부터 대략 100년이 좀 넘었다고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조선 중기의 문인이었던 허균(許筠)은 1618년에 지은 한정록(閑情錄)에서 박(瓠)을 심는 방법을 설명하면서 호박(南瓜)도 그렇게 하면 된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런 점으로 추정해 보면 호박은 임진왜란이 끝난 1600년대 초반에 우리나라에 들어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호박은 키우기가 매우 쉬운 데다가 잎, 줄기에서부터 열매와 그 속의 씨까지 버릴 것 하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누구나 사랑하는 채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호박씨에는.. 2025. 3. 21.
꿀 먹은 벙어리 유래, 어원 꿀 먹은 벙어리의 유래 고려대학교에서 펴낸 한국어 대사전에서는 ‘꿀 먹은 벙어리’란 표현에 대해, “속에 있는 생각을 겉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사람을 두고 놀림조로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또한 표준 국어 대사전에서는, “속에 있는 생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 풀이하고 있다.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는 설명은 이해가 되는데, 놀림조로 이르는 말이라는 설명은 수긍하기 어렵다. 이 표현이 쓰이는 상황에 대해 조금만 생각해 보면 놀리기 위해서 하는 경우가 거의 없거나 아예 없기 때문이다.  ‘꿀 먹은 벙어리’라는 표현은 무엇인가에 대해 말해야 할 상황에 말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사람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 혹은 애정을 드러내기 위해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좋은 일이 있어서.. 2025. 3. 19.
봄날에 쓰다(春日有感) ‘봄은 왔는데, 봄 같지 않다(春來不似春)’라는 말이 있다. 여러 상황으로 볼 때 올해의 봄이 그런 느낌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상당히 춥다가 갑자기 따뜻해졌다.그래서 가벼운 나들이를 했다.북한강을 따라 걸으면서 점심을 먹고 오는 일정이었다. 강력한 황사가 왔다가 걷히기 시작하는 한강은 그래도 봄 기운을 느끼기에 충분했다.春來不似春도 봄은 봄인지라 그에 대한 감흥이 있었다. 봄날에 쓰다(春日有感) 봄날이 다시 오니 黃沙는 절로 따라오는데처마 밑에 제비 날아도 임은 돌아오지 않네 물안개 앞을 막아 세상천지가 캄캄하더라도임 그리는 붉은 마음 그 무엇으로 막으리오 會者定離의 애달픔을 어느 누가 모르리오만무심한 春波에 부질없는 그리움만 실어 보내네  비 개인 강 언덕에 올라 목메어 불러보아도애끊는 메아리만 하.. 2025. 3. 14.
당신과 만난 날 당신과 만난 날 진달래 흐드러진 교정에서 당신을 만나던 날사람답게 사는 길이 비로소 열리기 시작했네 肉身과 學文의 두 목숨은 부모님께 받았지만사람다움의 생명은 모두 당신에게서 받았네 아직도 여전히 쑥, 마늘 열심히 먹고 있지만예전보다는 훨씬 더 사람 모습으로 되었다네 세 번의 삶 나에게는 모두 소중하고 귀하지만三生에 걸친 인연 무엇으로도 풀어내기 어렵네 2025. 3. 12.
쥐 죽은 듯 유래, 어원 쥐 죽은 듯이 유래, 어원 아무런 소리도 내지 않거나 어떤 소리도 들리지 않고 매우 조용한 상태를 지칭해서 ‘쥐 죽은 듯’, 혹은 ‘쥐 죽은 것처럼’ 등으로 말한다. 이 표현에는 어려운 말이 전혀 없으므로 그냥 쥐가 죽어서 조용한 것이라는 정도로 이해하고 넘기면 그만이다. 그렇지만 아주 조용한 상태를 말할 때 하필이면 쥐, 그것도 죽은 쥐를 대상으로 했을까 하는 의문은 남는다. 도대체 과거 우리 민족의 삶에서 쥐가 어떤 의미였길래 그것이 죽은 상태를 대상으로 하여 아주 조용한 상태를 강조하는 말로 만들었을까 하는 점을 이해하면 이런 의문은 풀릴 것으로 생각된다. 낮이 사람의 시간이라면 밤은 쥐의 시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밤이 되어 사람들이 잠자리에 들 시간이면 어김없이 온 사방에서 나타나 시끄러운.. 2025. 3. 2.
약속 약속(約束)한마디 말도 하지 못한 채 그대를 보내던 날교정엔 꽃비 내리고 내 가슴엔 흙비가 내렸네 산 넘고 물 건너 아스라이 세상 끝에 있어도 그리움은 붉은 노을 되어 온 하늘 물들이네 다시 온다는 맹세 얼마나 虛妄한지를 아나니약속 없이 간 그대이기에 돌아올 것을 믿네 무심한 수수꽃다리는 몇 번이나 피고 졌던고꽃잎은 별이 되어 은하수가 된 지 오래일세 2025. 2. 18.
부질없다 어원 ‘부질없다’의 어원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말 중에, 부질없다, 부질없이, 부질없는 등의 표현이 있다. 이것의 사전적인 뜻은, ‘대수롭지 않다, 쓸모없다, 허무하다, 헛되다, 쓸데없다’ 정도가 된다. 대수롭다가 중요하게 여길만하다는 뜻이니 대수롭지 않다는 말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 등한시(等閑視)할 만하다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부질없다는 말이 지닌 유래나 어원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다. 그러다 보니 호사가(好事家)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바대로 이야기를 만들어서 그럴듯한 설명을 해 놓은 것이 인터넷상에 많이 떠돌아다니기도 하고, 어떤 언론 기관에서는 TV에서 이것을 정설인 것처럼 소개하기도 한다.가장 많이 일컬어지고 있는 것이 ‘불질’에서 ‘ㄹ’이 탈락하여 ‘부질’로 되었다고.. 2025. 2. 12.
一字一言, 裏우리말에 ‘속, 겉, 안, 밖’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이에 해당하는 한자어는 裏(속 리), 表(겉 표), 內(안 내), 外(바깥 외)이다. ‘속’은 물체의 안쪽 부분, 무엇인가로 둘러싸인 부분, 사람이나 사물을 대하는 마음가짐이나 태도, 현상이나 일의 가운데, 감추어진 일의 내용, 사리를 분별할 수 있는 의식이나 생각 등의 뜻을 가지면서 매우 복잡하게 쓰인다. 한자어인 ‘裏’도 비슷한데, 글자의 구성요소와 만들어진 과정이 무척 흥미로워서 관심을 끈다.裏는 衣(옷 의)와 里(마을 리)의 두 글자가 결합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두 개의 구성요소 중 하나는 뜻을 나타내는 부분을 담당하고 하나는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을 담당하면서 새로운 글자로 만들어지는 형식으로 되어 있는 형성자(形聲字)에 속한다. 裏.. 2025. 2. 7.
봄을 맞이하다 봄을 맞이하다(迎立春) 옹장물 냄새가 바람결에 코끝을 스치니봄이 움직이기 시작함을 그윽이 알겠네 기러기 울음소리 아직 하늘 끝에 있지만초목 깊은 곳 꽃망울이 시작됨을 보노라 앞날이 보이지 않아도 희망을 품어 보고妄想임을 잘 알지만 잡으려 애써 보나니  그대여 양말산 봄 물결 푸르지 않더라도한 바람의 바램이라도 저버리지 마소서  옹장물(甕藏水) : 가축의 분뇨를 모아 놓는 웅덩이. 분뇨의 누설(漏泄)을 방지하기 위해 땅을 웅덩이 모양으로 판 다음에 옹기 같은 것을 묻어서 만든다. 이곳에 모인 분뇨를 두엄에 뿌려 발효시켜서 농사에 쓸 거름을 만든다. 겨울에 얼었던 분뇨가 녹으면서 냄새가 나기 시작하면 봄이 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로 입춘을 전후하여 옹장물의 냄새가 시작되는데, 가장 빠른 봄소식이라고 할 .. 2025. 2. 2.
烏鵲聲 烏鵲聲 추운 날 눈 내려 앞은 더욱 보이지 않는데요란한 烏鵲의 소리만 허공을 가로지르네 까마귀는 까치가 억지부려 못 살겠다 하고까치는 까마귀의 내로남불로 힘들다 하네 사람은 안 보이고 까막까치만 우짖어대니두 동강 난 나라에는 어둠만이 내려앉네 단군의 검 내게 있다면 일도양단하련마는하늘은 말이 없고 땅은 소리없이 흐느끼네#오작성 #까마귀까치 #까마귀 #민적당 #民敵黨 #까마귀 #까치 #내로남불 #烏鵲聲 2025. 1. 31.
짐승 어원 짐승의 어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말 중에 ‘짐승’이란 표현이 있다. 사전적으로는 몸에 털이 나고 발은 네 개가 달린 동물을 부르는 이름이 짐승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 이것은 적절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왜냐하면 짐승이란 말은 사람이 아니면서 살아있는 모든 동물을 지칭하는 말로 길짐승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길짐승, 날짐승, 물짐승 등 살아 있는 모든 존재들을 통칭하는 말이 바로 짐승이 되는 것이다. 짐승 같은 놈, 짐승만도 못한 인간 등의 표현을 근거로 하여 야만적인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다고도 말하지만, 이것 역시 원래의 의미와는 상당히 거리가 먼 설명이어서 현상적인 것만 강조하는 자의적인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이것을 순우리말이라.. 2025. 1. 24.
안과 밖의 변증법 안과 밖의 변증법 어떤 사물이나 일정한 공간이 무엇인가에 의해 둘러싸인 가장자리에서 가운데로 향하는 쪽을 ‘안’이라고 한다. 둘러싸고 있는 것을 경계라고 할 때, 그것의 가운데에 있는 부분이 바로 ‘안’이 되는 것이다. 사물이나 공간 같은 것에서 가운데를 둘러싸고 있는 경계의 바깥쪽을 ‘밖’이라고 한다. ‘안’과 ‘밖’은 그것을 규정하는 주체에 의해 일방적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관념적이면서 다분히 주관적이다. 즉, ‘안’과 ‘밖’은 보는 사람의 생각이나 판단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안’과 ‘밖’은 물체의 안쪽 부분과 바깥쪽 부분을 지칭하는 ‘속(裏)’, ‘겉(表)’과는 의미상으로 상당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안’과 ‘밖’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것이면서 이.. 2025. 1. 23.
막무가내 어원 막무가내 어원  ‘달리 어찌할 수 없음’, 혹은 ‘어떻게 할 수 있는 뾰족한 방도가 없음’ 등으로 풀이할 수 있는 막무가내는 우리말처럼 보일 수 있지만 한자어, 혹은 한자어와 우리말의 혼합형 등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대표 국어사전이라고 할 수 있는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막무가내라고 한글로 쓰면서 그것이 한자어에서 왔다는 의미로 莫無可奈로 표기하고 있는 점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이런 한자 단어 자체가 중국에서는 없는 것인 데다가 조선시대까지의 어떤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관계로 과연 이 표현이 어디에서 왔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말은 상당히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막무가내가 모두 한자어인지, 아니면 일부가 한자어이고 일부는 우리말인지를 따져볼 필요가 있.. 2025. 1. 15.
묵사발 어원(묵사발이 되다) ‘묵사발이 되었다’에서 묵사발의 어원 지금도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는 것 중에, ‘묵사발이 되었다.’, ‘묵사발로 만들다.’, ‘묵사발을 만들어 버린다.’ 등의 표현이 있다. 이 말들은 뭔가 좋지 않은 상태가 되거나 그런 상태로 만든다는 것으로, 좋지 않은 뜻과 어감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의문이 생기는 것은, 하필이면 이런 표현에 묵사발이란 말을 사용했느냐는 것이다. 특히 길게 썬 묵과 여러 재료들을 그릇에 담은 뒤 육수를 부어서 만든 음식을 묵사발이라고 하는 지금의 세태에서는 이해하기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묵사발이란 말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면, 1, 묵을 담은 사발. 2. 얻어맞거나 하여 얼굴 따위가 형편없이 깨지고 뭉개진 상태를 속되게 이르는 말. 3. 여지없이 패망한 상태를 비유.. 2025. 1. 7.
근하신년 2025 을사년이 밝았습니다.기대가 없어도 기대를 하고,희망이 안보여도 희망을 찾으며,앞이 어두워도 앞으로 나가야 할 것입니다.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모두 건강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새해 복 많이 받으소서. 2025. 1. 1.
세밑 세밑멀고 먼 남방의 객창에서 눈감고 세밑을 맞이하니 흰 눈은 오지 않고 궂은 비만 하염없이 내리네 슬프다 꿈에서도 삼각산 낙락장송 사랑해보지만 사무라온 안개에 희미한 모습이 어지러울 뿐이네푸른 용은 꽃뱀에 잡혀 하늘로 오르지 못하니인두겁을 쓴 독사에게 국운을 맡기고 말았네쉼없이 흐르는 세월이니 반드시 새해는 올것인데먹구름이 뒤덮을 내일 일상이지 못할까 두렵네 2024. 12. 29.
망국적 이기주의 망국적 이기주의삼다일보 2024.12.18 18:29 손종흠 한국방송대 전 제주지역대학장·논설위원 작금의 우리나라에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생각과 행동의 중심을 이루는 것을 든다면 개인을 중심으로 하는 철저한 이기주의를 으뜸으로 꼽을 수 있다. 대한민국은 이기주의로 똘똘 뭉쳐진 나라이며 그것이 여러 상황을 어렵게 만드는 핵심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기주의란 세계의 중심이 자기 자신이어야 하고 모든 것이 나를 중심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믿으면서 행동함으로써 일정한 상황에서 얻어지는 유무형의 이익은 당연히 자기 것이 최대여야 하고, 잘못이나 손해는 모두 다른 사람의 몫이 되어야 한다는 지극히 주관적인 관점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이기주의는 어떤 대상, 혹은 개인의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2024. 12. 18.
一字一言, 興우리말로는 약하거나 희미하던 것이 성(盛)하게 되거나 위로 솟아오르다 등의 뜻으로 해석되는 興은 몇 개의 글자 요소가 합쳐져서 새로운 뜻을 나타내도록 만들어진 회의자(會意字)이다. 이 글자는 갑골문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초기 문자에서는 글자의 중앙에는 들것, 혹은 가마처럼 생긴 모양이 있고, 네 귀퉁이에는 네 개의 사람 손이 그려져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사람 넷이 네 귀퉁이에서 중간에 있는 물건을 들고 있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볼 때 興은 여러 개의 손으로 힘을 합쳐서 무거운 어떤 물체를 들어서 올리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글자였음을 알 수 있다. 아래에서 위로 올라간다(올린다)는 뜻이 기본이었기 때문에, 후대로 오면서 이와 관련이 있는 다양한 의미로 확.. 2024. 12. 16.
一字一言, 朝 우리말로 아침을 뜻하는 한자어인 朝(아침 조)는 세 개의 구성요소가 모여서 만들어진 會意字이다. 국어사전에서 아침이란 어휘는, ‘날이 새면서 오전 반나절쯤까지의 동안’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런데, 한자 사전에서 정의하는 朝의 뜻은 우리말의 아침과는 시간의 차이가 좀 있다. 해가 떠오른 때로부터 아침밥을 먹기 전까지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해는 이미 떠 올랐지만, 달도 아직 지지 않은 때를 朝라고 하고 있어서 그렇다.  이 글자의 구성요소는 “日(해 일)”,“月(달 월)”, “茻(풀 우거질 망)”이다. 朝는 商나라 시대의 갑골문에서부터 보이는데, 초기 모양은 글자의 중간 왼쪽에는 네모 모양으로 된 口가 있고, 왼쪽에는 달 모양이 그려져 있다. 그리고 글자의 아래위에는 어린 풀을 나타.. 2024. 12. 4.
미안하다와 죄송하다의 차이 ‘미안하다’와 ‘죄송하다’의 차이점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면, ‘미안하다’라는 표현은 “남에게 대하여 마음이 편치 못하고 부끄럽다”라고 풀이하고 있으며, ‘죄송하다’라는 말은 “죄스러울 정도로 미안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내용만으로 보면 죄송하다가 미안하다는 표현 보다 어느 정도 어감이 강한 것은 알겠는데, 그렇게 큰 차이는 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미안하다는 마음이 편하지 못할 정도이고, 죄송하다는 죄스러울 정도이니 구체적으로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잘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죄송하다라는 표현에 대한 설명에 미안하다가 들어가서 더욱 그런 생각이 드는 것 같기도 하다. 특히 죄스럽다는 말을 찾아보면, “죄지은 듯하여 마음이 편하지 아니하다”라고 되어 있어서 더욱 그런 느낌을 준다. 그.. 2024. 11. 30.
첫눈 오신 날(來新雪的日) 첫눈 오신 날(來新雪的日) 새벽녘이라 甲辰年 태양 더 이상 뜨지 않는데 서쪽에서 먹구름이 천군만마처럼 밀려서 오고 어두움 속에서 묵은해 보내는 新雪을 맞이하니 푸른 뱀의 지혜 바라는 마음 더욱 간절해 지네 첫눈 오시는 날은 사람들 모두 마음 설레는데 나쁜 것 덮어 없애버리기를 원하기 때문이리라  옛날에는 첫눈을 축하하는 행사도 있었다는데지금은 손바닥 뒤집듯 하는 거짓만 있을 뿐이네 2024. 11. 27.
一字一言, 華 빛나다, 화려하다, 번성하다, 꽃, 꼭대기, 세월, 시간, 중화(중국) 등의 뜻을 가지는 華는 모양이 매우 복잡하지만 아주 흥미로운 글자이다. 이 글자는 기원전 11세기에 존재했던 西周 시대부터 있었는데, 이 당시에는 글자 꼭대기의 艹가 없는 모양으로 꽃의 모양을 형상화해서 만든 글자였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 글자의 기본적인 뜻은 초목의 맨 꼭대기에서 화려하게 빛나는 꽃(花), 혹은 꽃봉오리를 지칭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꽃봉오리는 아름다우므로 光彩, 華麗, 文彩 등의 의미로도 확장되었다. 華의 가장 빠른 글자는 𠌶(꽃 화)로 위에 艹가 없는 상태였다. 西周 시대의 金文에 이런 모양으로 나타내는데, 이것은 식물의 꼭대기에 피어 있는 꽃송이(꽃봉오리)의 모양을 형상화한 것으로 花(.. 2024. 11. 25.
뜨내기의 어원 뜨내기의 어원 ‘뜨내기’는 ‘뜨내기꾼’이라고도 하는데,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일정한 거처가 없이 떠돌아다니는 사람’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 설명은 한곳에 정착해서 붙어 있지 못하고 여기저기를 떠다니는 존재라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뜨내기라는 표현은 고정적이거나 반복적인 행위를 하는 사람이 아니라서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존재를 좀 낮추어서 지칭하는 말이 된다. 이런 점으로 볼 때 뜨내기는 뜨다+내기가 결합한 형태가 된다.  동사나 형용사로 쓰이는 ‘뜨다’라는 어휘는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 것이면서 매우 다양한 용법으로 쓰이고 있는데, 고정되어 있지 않다, 발효하다, 썩다, 떠나다, 떼어내다, 눈을 벌리다, 실로 만들다(뜨개질),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다, 탁본을 만들다, 모형을 만들다, 상.. 2024. 11. 17.
고골관(枯骨觀)에 대하여 고골관(枯骨觀)에 대하여 고골관은 백골관(白骨觀), 혹은 부정관(不淨觀)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자신의 본질을 제대로 보아 욕심으로 가득한 탐욕을 제거하려는 것(不淨觀)이며, 육신에 얽매여 있는 자기 집착을 없애기 위함(白骨觀)이다. 이것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자기 내면에서 가장 깊은 속을 들여다보아(觀) 나의 본질, 혹은 핵심을 파악해야 한다. 이것을 제대로 수행하면 불(佛)의 세계에 들어갈 수 있다고 한다. 신라의 승려로 양산의 통도사(通度寺)를 창건한 자장(慈藏)이 고골관을 수행해서 불성을 깨달았다고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觀은 본질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 대상을 꿰뚫어 보다, 뚫어지게 보다 등의 뜻으로 쓰였다. 고골관은 의미가 매우 깊지만 아주 어려운 수행법인데, 우리나라의 설명 자료에는 아.. 2024. 11. 16.
신이라 착각하는 사람들 신이라 착각하는 사람들손종흠 전 한국방송대 제주지역대학장·논설위원삼다일보 승인 2024.11.14 17:00  세상의 모든 생명체는 암수의 상호관계를 통해 종족을 보존함으로써 같은 종을 오랫동안 이어왔다. 여자와 남자로 구별되면서 자연의 일부이기도 한 사람도 이성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형성된 부부 관계를 통해 2세를 낳아 인류의 영속성을 추구하는 삶을 살아왔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 일부 여성들을 중심으로 이것을 거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니 4B 운동이 바로 그것이다. 비(非)연애, 비성관계, 비결혼, 비출산을 외치는 물결이 고조되면서 인구의 감소를 부추기고 있어서 큰 우려를 낳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전통적인 가부장 제도에 저항하는 운동이라고 하지만, 이는 싸워서 바로잡아 개선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 2024. 11. 14.
양치질의 유래, 어원 양치질의 유래, 어원 음식을 먹은 뒤 이(齒)에 붙은 것들을 없애거나 입에서 냄새가 난다고 생각될 때 이를 닦고 입안을 가시는 것을 양치질이라고 한다. 한자로는 이를 관리한다는 뜻을 가진 養齒로 적는데, 원래는 조선 시대부터 버드나무의 가지라는 뜻을 가진 양지(楊枝)가 잘못 전해져서(訛傳) 이렇게 되었다는 주장이 상당히 널리 퍼져 있다. 얼핏 보기에 설득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올바른 주장이라고 보기 어렵다. 조선 시대의 기록을 보면 양치, 혹은 양치목(養齒木), 양치목장(養齒木匠), 양치장(養齒匠), 양치목인(養齒木人) 등의 표현이 16세기 초기(1505년)인 연산군 때의 기록에서 이미 등장하고 있어서 상당히 오랜 과거부터 양치라는 말이 널리 쓰였던 것으로 확인되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에는 손으로 무.. 2024.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