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려실기술 김문기 기록(성삼문의 공초)

by 竹溪(죽계) 2006. 9. 13.
728x90
 

연려실기술 제4권  단종조 고사본말(端宗朝故事本末)

육신(六臣)의 상왕 복위 모의(上王復位謀議)




곤장을 때리면서 그 일당들을 국문하니, 성삼문이 대답하기를, “김문기(金文起)ㆍ권자신(權自愼)ㆍ송석동(宋石同)ㆍ윤영손(尹鈴孫)ㆍ이 휘(李徽) 및 우리 부자라.” 하였다. 사람을 시켜 묻기를, “상왕도 또한 아는가.” 하니, 성삼문이 말하기를 “권자신을 시켜 통지하였다.”고 말했다. 이에 권자신ㆍ김문기 등 칠십여 인을 차례로 잡아 국문하고 율(律)에 의하여 처단하여 하나도 벗어나지 못하였다. 허조(許慥)허후(許詡)의 아들는 이 개의 매부로 모의에 참여하였다가 스스로 목찔러 죽었다. 《해동야언》


○ 동학사(東鶴寺) 《초혼기(招魂記)》에 말하기를, 이개(李塏)공회(公澮)ㆍ박팽년(朴彭年)헌(憲)ㆍ순(珣)ㆍ분(奮)ㆍ파(波)ㆍ녹대(彔大)ㆍ개동(丐同)ㆍ흔산(欣山)ㆍ금년생 여덟 사람ㆍ성삼문(成三門)맹첨(孟瞻)ㆍ맹년(孟年)ㆍ맹종(孟終)ㆍ헌택(憲澤)ㆍ금년생 일곱 사람ㆍ하위지(河緯池) 연(璉)ㆍ반(班)ㆍ유성원(柳誠源)귀련(貴連)ㆍ송련(松連)ㆍ박중림(朴仲林)박팽년의 아버지ㆍ대년(大年)ㆍ기년(耆年)ㆍ영년(永年)ㆍ인년(引年) 박팽년의 아우ㆍ권자신(權自愼)구지(仇之)ㆍ김문기(金文起)현석(玄錫)ㆍ성 승(成勝)ㆍ삼고(三顧)ㆍ삼빙(三聘)ㆍ삼성(三省)성삼문의 아우ㆍ유응부(兪應孚)사수(思守)ㆍ박 정(朴崝)숭문(崇文)ㆍ계남(季男)ㆍ즉동(則同)ㆍ윤영손(尹鈴孫)ㆍ송석동(宋石同)창(昌)ㆍ녕(寧)ㆍ안(安)ㆍ태산(太山)네 사람ㆍ이유기(李裕基)은산(銀山)ㆍ심신(沈愼)올미(㐚未)ㆍ권서(權署)ㆍ권저(權著)ㆍ최사우(崔斯友)ㆍ정관(鄭冠)ㆍ봉여해(奉汝諧)유(細) ㆍ김감(金堪)한지(漢之)ㆍ선지(善之)ㆍ이호(李昊)성손(成孫)ㆍ무손(茂孫)ㆍ이지영(李智英)사이(思怡)ㆍ이의영(李義英)ㆍ장귀남(張貴南)충(冲)ㆍ이말생(李末生)ㆍ이오(李午)철(鐵)ㆍ금(金)ㆍ심상좌(沈上佐)ㆍ황선보(黃善寶)ㆍ조청로(趙淸老)영서(榮緖)ㆍ이휘(李徽)ㆍ김구지(金九知)ㆍ이정상(李禎祥)ㆍ최치지(崔致地)ㆍ득지(得地)ㆍ허조(許慥)연령(延齡)ㆍ구령(九齡)

○ 화산부원군(花山府院君) 부인 최씨(崔氏)는 곧 현덕왕후(顯德王后)의 어머니인데, 그 아들 권자신예조 판서 과 더불어 극형을 받았다. 《해평가전(海平家傳)》